미반영 현안 국비 증액 위해
기재부 예산부처 잇따라 방문
정치권에도 “힘 실어달라” 요청

[울산시민신문] 내달 본격적인 예산정국을 맞아 울산시 발걸음이 빨라졌다.
울산시는 내년도 정부예산안에 올해보다 13.5%(3014억 원)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모인 2조5268억 원의 국비를 반영했다.
주요 사업을 보면 영남권 글로벌 숙련기술진흥원 설립 125억6000만 원,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실증지원센터 구축사업 20억6000만 원, 울산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 1040억 원, 농소~강동간 도로개설 150억 원, 산재전문 공공병원 건립 157억 원, 울산신항 개발사업 1249억 원 등이 편성됐다.
신규사업으로 멀티오믹스 기반 난치암 맞춤형 진단·치료기술 상용화 45억 원, 영남권 제조업 AI융합 기반조성 20억 원, 남부권 광역관광개발사업 32억 원 등도 따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얼마 만큼의 예산을 확보하느냐에 따라 내년 시 주요 사업의 성패가 결정난다는 점에서 정부예산안에 반영되지 못한 현안사업 추가 국비 확보에 잰걸음이다.
시는 서정욱 행정부시장과 안효대 경제부시장을 중심으로 예산 정국에 총괄 대응하고 있다.
지난 21일에는 행정·경제부시장이 기재부를 방문해 예산총괄심의관, 사회예산심의관, 복지안전예산심의관 등 예산부서 핵심 관계자들을 차례로 면담하고, 울산에 대한 관심과 내년도 국비에 울산 역점사업들이 추가 반영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했다.
울산 국가산단 지하배관 현장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울산 도시철도(트램) 1호선 건설, 울산 화학적 재활용(해중합) 테스트베드 구축, 도심형 정원 기반(인프라) 구축,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구축, 지능형 전력구동 핵심부품 지원 기반구축, 해상물류 통신기술 검증 테스트베드 구축 등 등 울산 미래와 시민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사업에 대한 국비 확보에 매진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건전재정으로 기조를 전환하면서 국비 확보 여건은 녹록지 않다. 시와 지역 정치권의 협력 없이는 예산 확보를 장담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시는 지난 19일 열린 국민의힘과의 당정협의회에 참석한 김기현 당 대표와 지역 의원들에게 내달부터 진행될 국회 예산 심의에서 정부안에 미반영되었거나 증액이 필요한 사업들을 설명하고 예산 추가 확보에 힘을 실어줄 것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