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인도 등 신남방지역 시장개척 가속화해야"
"동남권 인도 등 신남방지역 시장개척 가속화해야"
  • 노병일 기자
  • 승인 2019.01.30 11: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BNK금융경영硏 동남권연구센터, G2경제 진단 보고서

[울산시민신문] 울산 등 동남권은 미국과 중국의 경제 둔화에 대비해 산업구조 재편 및 경제체질 강화와 함께 인도와 아세안 등 신남방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장개척을 가속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BNK금융그룹 소속 BNK금융경영연구소 동남권연구센터는 30일 발표한 'G2경제 진단 및 시사점'연구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동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2009년 6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114개월 연속 경기확장세를 이어가며 역사상 최장기록(120개월)에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성장률(2.9%)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수준까지 높아졌다.

주 : 1) 경제성장률 감소폭자료 : 국제금융센터, 한국은행무디스 모건스탠리 Citi UBS JP모건중국 주택 및 상업용건물 가격 상승률(%) (%)주 : 1) (실질)주택가격은 전기대비,상업용건물가격(베이징 기준)은 전년동기대비자료 : 중국국가통계국, OECD

중국경제도 2015년 이후 지난해까지 6%대 중후반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시현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G2경제의 성장 둔화흐름은 불가피한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미국의 경우 재정정책 효과 등이 약화되면서 금년은 2%대 중반, 내년에는 2%를 하회하는 수준까지 성장률이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도 지난해 하반기 이후의 경기둔화 흐름이 이어지면서 올해와 내년에는 6%초반 정도 성장하는데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경기침체의 선행지표로 인식되는 장단기 국채금리차(10년물과 2년물 기준)가 축소되면서 일부에서 미국경제의 리세션(recession, 경기침체기)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1980년 이후 미국은 장단기 금리가 역전된 5번 모두 4~6분기 시차를 두고 리세션에 진입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동산시장 둔화와 기업건전성 악화가 리세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지목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중국도 대내외 리스크가 크게 부각될 경우 경착륙 가능성이 있다는 시각도 상존한다고 언급했다. 대외리스크 요인으로 미중 무역분쟁을 지적하고 있으며 구조적 요인으로는 부동산침체 가능성, 기업 및 가계부채 문제를 꼽았다.

하지만 미국경제 리세션 및 중국경제 경착륙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미국경제의 경우 양호한 소비심리 및 고용여건 등을 감안할 때 경제 펀더멘털이 급격히 붕괴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보고 있다.

또한 중국도 적극적 재정정책 및 완화적 통화정책 등의 부양책을 통해 경기둔화에 대응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경착륙 우려는 과도하다는 것이다.

동 보고서는 G2경제의 급격한 침체가능성은 낮지만 경기둔화가 예상되는 만큼 동남권의 산업구조 재편 및 경제체질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무엇보다 G2에 대한 수출의존도를 낮춰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동남권의 대 G2 수출비중은 2018년 28.7%까지 높아진 상황이다. 따라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인도, 아세안 등 신남방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장개척을 가속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자체 및 유관기관의 지원시스템도 더욱 고도화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수출품목 집중도 완화를 위한 노력도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최근 5년중 동남권의 대 G2 수출은 자동차, 석유제품, 자동차 부품이 1~3위를 기록하며 전체의 4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뿐만 아니라 중국도 소비중심 경제로 변모하고 있는 만큼 특정품목 중심의 수출전략에서 벗어나 다양한 소비재 관련 기술개발 및 산업육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중장기적으로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고 있는 G2의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마련도 필요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신성장 동력 발굴 및 첨단산업 인프라 구축에 기업과 지자체가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BNK금융경영연구소 동남권연구센터 백충기 연구위원은 "동남권의 G2에 대한 높은 수출의존도 및 수출품목 집중현상에 대한 우려는 오랜기간 지속돼 왔으나 좀처럼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면서 "G2경제의 불확실성과 미래산업 성장에 따른 급속한 구조변화 등을 감안할 때 이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하는데 더 많은 자원과 역량을 집중해야 할 시점이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