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망한 산업수도 울산... “속빈 강정이네”
민망한 산업수도 울산... “속빈 강정이네”
  • 정두은 기자
  • 승인 2023.03.23 16: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프리즘

1월 출생아 수는 역대 최저치
87개월째 탈울산 행렬 이어져
경제성장률은 10년 간 역성장
매년 청년 6천명 이상씩 떠나

다급해진 市, 인구 정책 손질
2026년까지 4조8259억 들여
‘살고 싶은 울산’ 만들기 총력
울산시는 지난 2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김두겸 울산시장 주재로 '2023년 제1차 인구정책위원회'를 개최했다.
울산시는 지난 2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김두겸 울산시장 주재로 '2023년 제1차 인구정책위원회'를 개최했다.

[울산시민신문] “출산율 역대 최저, 87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탈울산 행렬 ….”

한때 고도 성장기의 중심에서 우리 경제를 견인했던 울산이 ‘산업도시’라는 그럴듯한 감투를 쓰고 있지만 사실 속빈 강정이라는 게 재확인됐다. 아기 울음소리는 끊기고, 청년들은 일자리를 찾아 고향을 떠나고 있는 지역을 상상하면 크게 틀리지 않을 터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월 인구 동향’과 ‘2023년 2월 국내인구 이동통계’에 따르면 1월 울산의 출생아수는 519명으로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또 지난달 울산지역의 순유출 인구는 1372명에 달해 인구 대비 순이동률은 -1.6%를 나타냈다. 경남(-1.7)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감소 폭이다. 울산 인구는 2015년 11월 117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줄곧 내리막이다. 이로써 탈울산 행렬은 87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울산 5개 구·군 가운데 중구와 동구는 인구 유출과 상권 침체가 심각하다. 특히 국내 조선산업의 메카였던 동구는 지난해 산업연구원이 개발한 ‘K-지방소멸지수’의 소멸우려지역에 포함됐다. 하지만 울산 전체가 ‘늙어가는 도시’ 청년들이 사라지는 도시‘라는 건 이제 울산 시민이라면 모두가 안다. 등하교 시간대가 지나서 시내버스를 탑승하면 많을 때는 10명 중 7명이 노인들이다. 울산은 지난해 9월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울산의 고령화 속도는 통계청이 지난해 9월 발표한 고령자 통계에서 나타나듯 17개 시·도 중 가장 빠르다.

울산이 이렇게 된 것은 ‘제대로 벌어 먹고 살 것이 없기’ 때문이다.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50.1%로 압도적으로 높으면서 여타 산업의 일자리 확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탓이다. 여기다 4대 주력 산업에 대한 집중도와 수출 비중이 높은 탓도 크다.

한국은행 조사에서 울산 경제성장률은 지난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0년 동안 -0.6%로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역성장했다. 그 전 10년간 3.6% 성장했던 것과 비교하면 활력을 잃어버린 울산 경제의 현실을 그대로 보여줬다. 

이러니 변변한 일자리가 있을 턱이 없다. 울산의 청년들이 매년 6000명 이상씩 서울 등 수도권 등지로 떠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남구 거주의 한 청년은 “울산은 청년들에게 희망이 없다. 공무원들만 먹고 사는데 애로사항이 없는 것 같다”고 토로했다.

울산에 살고 싶어도 일자리가 없어 떠난다는 청년들의 외침을 들을 때마다 지역사회도 자괴감에 빠지기는 매한가지다. 사람이 모이지 않는 도시, 젊은 층과 일하는 사람이 떠나는 도시는 미래가 없기 때문이다. 반복되는 판에 박힌 대책으로는 청년들이 울산에 정착하는 것은 아닐 터다. 

울산시가 최근 인구정책을 손질했다. 시가 내놓은 인구정책은 2021년 말 수립한 인구정책 종합계획(2022~2026년)을 보완·수정한 것이다. 지난 21일 개최한 인구정책위원회에서 심의·의결했다. 수정안에는 민선 8기 주요 공약사업도 대폭 반영했다. 

‘모든 세대가 행복하고 살고 싶은 도시’라는 비전 아래 △미래 성장 도시 기반 강화 △정주 여건 개선 △생애 전반 맞춤형 지원 강화 △인구 변화 선제 대응 등 4대 전략, 14개 전략 과제, 100개 세부 과제로 구성됐다. 

청년들의 취업역량 강화, 지역 정착을 위한 자립 지원 확대, 노인 돌봄·사회 참여 지원을 통한 고령사회 선제적 대응 체계 마련 등 ‘살고 싶은 울산’을 만들겠다는 게 핵심이다.

최초 계획 수립 당시 세부 추진 과제는 79개였지만, 신규 과제 30건을 반영하고 4건은 변경, 8건은 장기 검토에 따른 제외, 1건은 통합해 총 100개 과제로 정비했다. 시는 세부 과제 이행 사업비를 기존 3조9041억 원에서 9218억 원 늘어난 4조8259억 원으로 확대하고 올해 7853억 원을 투입키로 했다.

시 관계자는 “일자리, 주거, 문화 등 분야별로 인구 유출에 대응해 지역 활력 증진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