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화의 심장’ 울산 대개조 위한 서막 올랐다.
‘산업화의 심장’ 울산 대개조 위한 서막 올랐다.
  • 정두은 기자
  • 승인 2024.01.16 15: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출생·청년 유출·고령화 유발
낡은 시스템에 도시는 늙어가

올해는 새로운 60년 초석 다질
울산 성장 군불 다시 지필 호기
기회발전·에너지 특구 선점해야
울산시청
울산시청

[울산시민신문] 지방 소멸의 울산 시계추가 점점 더 빨리 돌아간다. 울산은 저출생과 청년 유출, 가파른 고령화 속도로 인구 균형이 깨지고, 주력산업의 쇠락 속에 성장의 한계에 부딪혔다. 저출산이야 전국적인 현상이라고 하더라도 울산의 고령화 속도는 전국에서 부산 다음으로 빠르다. 

16일 한국고용정보원의 ‘지역별 고령화와 고령층 노동시장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고령화 속도는 부산이 0.968%p로 전국에서 가장 빠르고 울산이 0.839%p로 뒤를 이었다. 울산 산업화를 이끈 베이비 부머들이 한꺼번에 퇴직하면서 평균 나이가 부쩍 많아졌기 때문이다. 대신 청년 인구는 지난 2021년 9156명, 2022년 6003명이 줄어드는 등 내리막길로 치닫고 있다. 

울산은 더 이상 기존의 낡은 시스템으로는 떠나는 청년층을 잡을 수 없는 도시가 됐다. 일부 제도를 개편하거나 고만고만한 인프라를 몇 개 더 놓는 것으로는 절대 이 흐름을 바꿀 수 없다.

10여년 전만 해도 전국에서 가장 젊었던 울산은 저출산·고령화에다 인구유출로 인한 생산가능인구 감소라는 삼중고에 직면한 상황이다.

‘산업화의 심장’ 울산의 옛 명성을 되찾자는 목소리가 울산 시민과 각계각층에서 커지고 있다. 특히 올해는 여러 조건들이 맞아 떨어지는 최고의 호기이기도 하다. 

윤석열 정부의 국토균형발전 기조와 민선 8기 울산시의 친기업 정책 등이 맞물려 지난해 역대급 투자 유치를 끌어내는 등 울산의 성장 군불을 다시 지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았기 때문이다.

사실 울산이 처한 현 상황은 녹록지 않다. 정부의 긴축예산 기조 속에 역대 최대 규모의 국가예산을 확보하고, 탈울산 행렬은 88개월 만에 주춤거리긴 했으나 여전히 청년들은 일자리를 찾아 떠나면서 도시는 노쇠해 가고 있다.

청년들이 떠나는 도시가 아니라 몰려오는 도시가 되려면 새 성장동력을 발굴해 산업 엔진을 뜨겁게 달궈야 한다. 고부가·친환경 중심으로 울산의 산업지도를 재편하는 것이 필수다. 

울산이 추진 중인 이차전지 산업기반 조성은 ‘산업도시 울산’이 엣 명성을 찾기 위해 다시 도약할 수 있는 마중물이면서 신 성장판을 이끌 출발점이 되고 있다. 울산은 지난해 7월 이차전지 특구로 지정됐다. 

도심융합특구 사업은 울산의 또다른 원군이다. 정부가 지난 11일 ‘도심융합특구 조성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제정안을 입법예고하면서 ‘울산판 판교테크노밸리’로 불리는 울산도심융합특구 사업에 속도가 붙었다. 

친환경 에너지 산업과 관련한 수소, 미래 모빌리티 등 첨단산업 집적단지가 울산을 탈바꿈시키기 위한 채비에 들어간다. 울산은 지난 2022년 12월 울주군 KTX역세권 162만 ㎡와 중구 혁신지구 31만 ㎡ 등 총 193만 ㎡가 도심융합특구로 이름을 올렸다. 

무엇보다 올해는 울산이 새로운 산업수도 60년을 시작하는 초석을 다질 절호의 기회이다. 때문에 정부가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주겠다고 공언한 ‘기회발전특구’와 전력 수요의 6월 지역분산화 시대를 앞두고 지정될 ‘에너지 특구’ 유치는 놓칠 수 없다.

울산의 미래 세대를 위해서라도 두 개의 특구 바퀴가 함께 굴러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푸른 용의 해인 연초부터 울산의 힘찬 도전이 시작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