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신청서 제출
울산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신청서 제출
  • 정두은 기자
  • 승인 2024.01.31 14: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월 서류심사 시작해 보존 관리·평가 등 거쳐 내년 7월쯤 등재 결정
“신석기∼신라시대 한반도 동남부 연안의 미적 표현·문화 변화 집약”
한반도 선사 문화의 정점으로 여겨지는 울산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신청이 본격화하고 있다. 사진은 그윽한 산세로 둘러싸인 대곡리 반구천 전경.
한반도 선사 문화의 정점으로 여겨지는 울산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신청이 본격화하고 있다. 사진은 그윽한 산세로 둘러싸인 대곡리 반구천 전경.

[울산시민신문] 한반도 선사 문화의 ‘정점’으로 평가받는 울산 울주군 대곡리 반구천 일원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본격 도전한다.

31일 울산시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신청서를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했다.

‘반구천의 암각화’는 ‘울주 천전리 각석’과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등 두 개의 국보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천전리 각석
천전리 각석

이 중 1970년대 초 발견된 천전리 각석은 각종 도형과 글, 그림이 새겨진 암석이다. 다양한 기하학적 무늬와 동물, 추상화된 인물 등은 청동기 시대 작품이다. 또 배 그림, 800여 자의 글자는 신라 법흥왕(재위 514∼540) 시기에 새겨진 것으로 추정되면서 6세기 무렵 신라 사회를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문화재청은 바위에 새긴 그림과 글의 중요성을 고려해 국보 지정 명칭을 ‘울주 천전리 각석’에서 ‘울주 천전리 명문(銘文)과 암각화’로 변경할 계획이라고 최근 예고한 바 있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는 1971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 선물처럼 발견됐다. 대곡천을 낀 절벽 아랫부분에 자리한 높이 4m, 너비 10m 크기의 바위 면에 선과 점을 이용해 고래·호랑이·사슴 등 다양한 동물과 사냥 장면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있어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최고 걸작으로 여겨진다.

반구대 암각화
반구대 암각화

특히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 고래와 고래잡이 과정의 주요 단계를 새긴 부분은 세계적으로도 비슷한 사례를 찾기 어려워 문화적 가치가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문화재청은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약 6천 년 동안 지속된 다양한 시대의 그림과 문자는 당대 암각 제작 전통을 확인할 수 있는 독보적인 증거”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면서 “신석기 시대부터 신라 시대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미적 표현과 문화 변화를 집약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지닌다”고 설명했다.

'반구천의 암각화'는 오는 3월 서류심사를 시작으로 내년까지 세계유산 등재 심의와 보존 관리·평가 등을 담당하는 심사 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의 평가를 받는다. 등재 심의 대상에 오를 경우 내년 7월로 예정된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세계유산 등재가 확정되면 ‘반구천의 암각화’는 한국의 17번째 세계유산으로 이름을 올리게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