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포경 연대 강화 신호탄, 동맹시 사무국 설치
울포경 연대 강화 신호탄, 동맹시 사무국 설치
  • 울산시민신문
  • 승인 2024.02.18 17: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팀’ 정신 제대로 살려
실질적인 성과 이어져야
단순한 쇼 그쳐선 안 돼
정두은 편집국장
정두은 편집국장

‘시작’과 ‘처음’이란 말이 언제나 새롭고 신선하게 다가오는 것은 미래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담고 있기 때문일 터다. 울산 포항 경주가 행정구역 경계를 허물고 결성한 협의체인 해오름동맹시가 이런 설렘과 기대 속에 7월 ‘동맹시 사무국’의 성공적 출범을 위해 야심찬 항해를 시작했다. 사무국 출범은 세 지역의 상생을 앞당기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벌써 기대를 모은다. 신광역경제권 조성에 따른 기대감이다. 울산시에 따르면 사무국 출범과 관련해 세 지역 실무진들은 사무국 설치 도시, 사무국에 파견할 인원, 조직 편성 등에 대해 논의 중이다. 

세 지역이 상생을 본격화한 것은 지난해부터이다. 세 지역 수장이 지난해 11월 6개 분야 47개 상생사업을 펼치겠다는 공동선언문을 발표하면서다. 선언문에는 단일 경제권 성장, 초광역 교통망 형성, 광역문화 관광권 조성, 도시 안전망 구축 등에 서로 협력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경제·산업, 교통 인프라, 문화·관광, 해양·물류, 방재·안전 등 세 지역 공동 번영을 위해 ‘원팀’을 이뤄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그간의 과정을 보면 세 지역은 문화·관광·체육 분야에서 상생 협력에 주력했던 터여서, 경제공동체로 나아가겠다는 선언문을 작성하고 더 나아가 삶의 질 전반에 걸쳐 상생사업을 하고자 후속조치인 사무국 설치까지 도출해 낸 것은 이례적이다. 향후 행보에 기대감을 갖게 하는 대목이다. 무엇보다 지방에 드리워진 인구소멸 그림자에 맞서 세 지역 수장이 상생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인 셈이다. 

하지만 세 지역 수장의 강한 의지에도 불구하고, 과연 상생의 앞길이 순탄할지 의문이 드는 것 또한 사실이다. 아마도 짙은 기시감 때문일지 모르겠다. 지방 소멸의 위기 속에 국내 최초로 부울경 메가시티의 출발점이 될 부울경 특별연합이 출범했지만 공식사무(지난해 1월 1일)도 시작하기 전 좌초된 게 2년 전 일이다. 800만 부울경 세 지역이 수도권 일극체제에 맞서 동북아시아 8대 메가시티로의 도약을 꿈꾸며 5년여에 걸쳐 공들여 추진했으나 “실익이 없다. 우리가 더 손해”라는 지역 이기주의와 정치 갈등에 함몰돼 한순간 ‘와르르’ 무너졌다. 말처럼 상생이란 게 쉽지 않다는 방증일 수도 있다.

울포경 상생 노력의 뿌리는 깊다. 2016년 울산~포항 고속도로가 개통하면서 30분대 생활권으로 가까워진 세 지역은 ‘동해남부권 상생발전’이란 이름으로 첫 항해를 시작했다. 출범 당시만 해도 동해안 광역경제권으로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경쟁력을 높일 매력 있는 카드로 여겨졌다. 하지만 상생은 지지부진했고, 그해 8월 상생은 ‘해오름동맹’이란 이름으로 새롭게 시동을 걸었다. 그간 이런저런 노력이 없었던 건 아니다. 관광 등 연계 사업에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고 매년 두 차례 정기회의를 가지면서 공동사업 추진계획을 세우고 사업도 점검했다. 지난해 12월에는 세 지역 관광실무협의체인 ‘해오름동맹 관광실무협의회’가 울포경 지역의 관광명소를 함께 소개하는 뮤직비디오를 제작해 SNS를 통해 공동 홍보에 나서기도 했다. 하지만 그간 동맹시 행보를 보면 경제공동체로 나아가기 보단 말 그대로 단순한 협의체로서의 성격이 짙었다.

역사적으로 세 지역은 신라문화권이라는 동질감을 갖고 있다. 세 지역은 울산~포항고속도로 개통을 계기로 30분대 생활권으로 한층 가까워진 지리적 특색 외에도 산업적으로도 연관성이 높다. 자동차 산업만 놓고 보더라도 소재(포항), 부품(경주), 완성품(울산)으로 연결된다. 때문에 세 지역이 힘을 합치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인구 200만 명에 경제 규모 100조 원에 이르는 메가시티로 도약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특히 울산 포항 두 지역은 지난해 7월 이차전지 분야에서 모두 특화단지로 지정돼 ‘전기차 산업 네트워크’라는 미래 성장동력도 얻은 터다. 

전문가 일각에선 울산은 부산, 경남과 함께 ‘동남권 광역경제권’으로 분류되고 있지만, 광역경제권의 핵심요소인 산업 클러스터로서의 연결고리는 상대적으로 취약하다고 지적한다. 울산이 인접한 포항과 경주를 포괄한 새로운 형태의 광역경제권을 조성하는 게 강력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얘기가 심심찮게 나오고 있는 이유이겠다.  

동맹시 사무국 설치는 이제 세 지역의 경제공동체 연대 강화를 위한 첫 시작일 뿐이다. 공동선언문이 과거처럼 그저 ‘쇼’에 그치는 종잇조각이 아니라는 것을 입증하는 건 세 지역 수장들의 몫이다. 이제 더는 만남과 선언이 아닌 하나라도 구체적 성과를 지역민들에게 선물해야 할 때다. 특히 올해는 ‘산업화의 심장’ 울산이 특화단지(기회발전·에너지) 유치를 통해 대개조 서막을 열어가는 중추적 역할을 시험받는 한 해가 되는 만큼 울산으로서는 동맹시 사무국 출범의 의미는 남다르다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