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대 암각화 투명막댐, 임시방편이다.
반구대 암각화 투명막댐, 임시방편이다.
  • 울산시민신문
  • 승인 2013.06.18 11: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반구대 암각화가 투명막으로 전신을 가린 채 일단 ‘물 고문’에서 벗어나게 됐다. 임시방편적인 해법이지만 그나마 다행이라 아니할 수 없다.

정부는 지난 16일 정부 종합청사에서 정홍원 국총리와 변영섭 문화재청장.박맹우 울산시장등이 참석한 가운데 반구대 암각화 보존 방안에 협의했다. 공식적으로 협약된 내용은 이름도 생소한 ‘카이네틱 댐’ 건설이다.

카이네틱 댐은 수위변화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투명막을 말한다, 합성 플라스틱의 일종인 투명막은 강화유리보다 충격 가능성이 훨씬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유연성과 가공성이 뛰어나 암각화 주변 지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반구대 암벽 전면에 반원형으로 설치될 물막이용 투명막은 이끼등이 끼지 않고 설치와 철거가 용이한 점이 특색이다. 한 건축사가 제안한 이 방법은 국내에서 시도된 적이 없으며 외국에서도 중국등 일부 지역에서 군사 목적등으로 건설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0년 동안 밀고 당기기를 계속해 왔던 반구대 암각화 보존 논란이 한 건축사의 아이디어로(일시적이나마) 봉합된 사실이 그저 놀랍다. 그것도 반구대 암각화 갈등을 알고 불과 3개월여의 연구 끝에 해법을 찾았다니 더욱 기막힐 일이다.

그동안 울산시와 정부가 얼마나 자신들의 이해타산과 탁상행정에 함몰돼 있었는지 되짚어 볼 일이다. 현재 아이디어 제공자인 건축사는 한치의 오차도 없이 완벽하게 댐을 만들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다.

첨단시설과 우수인력으로 특정 장소에서 일단 댐의 형체를 만든 뒤 현지로 이동해 설치하는 공법이니 만큼 암각화 훼손은 없다는 주장이다. 또 댐건설 기간이 9개월 정도면 가능하고 비용도 80억원 정도로 장담하고 있다.

영구적인 보존책은 아닐지라도 최소 경비에 최단기 공사로 우선 암각화를 물고문에서 해방시킬 수 있다니 그게 어딘가.

이번에 ‘카이네틱댐’ 건설이라는 절충안이 채택된 것은 정홍원 국무총리와 국무조정실이 주도적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울산시와 문화재청의 갈등도 그렇지만 반구대 암각화 문제를 더 이상 끌어서는 안된다는 국민여론이 작용했을 것이다.

거기다 유네스코 등재라는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사항이라는 점도 배경이 됐을 터이다. 16일 전격적으로 체결된 협약서에는 ‘카이네틱 댐’ 건설의 선택과 ‘즉시 추진’ 이 골자다. 또 울산시와 문화재청은 공동책임 하에 댐을 건설하도록 협약서에 명시했다.

지반조사및 구조안정성 문제 등은 별도의 기술평가팀이 맡고 평가팀 구성은 국무조정실이 수행한다는 약속이다. 사업비 조달 부문도 관련 법률에 따라 울산시 30%, 문화재청 70%로 일단락됐다.

사전조율이나 양해가 있었겠지만 국무총리 주도의 이번 합의 도출은 전격적인데다 내용 또한 구체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일찌감치 이런 대안이 제시되고 울산시와 문화재청, 그리고 중앙정부가 해결의지를 보였드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문제는 이번에 채택된 투명 물막이 건설이 최선이 아닌, 차선책이라 점이다. 이동식댐으로 안전이나 미관에 문제가 생길 경우 철거돼야 한다는 허점을 안고 있다. 이번 대안이 처음 거론됐을 부터 일각에서는 설치 과정에서의 암각화 훼손 가능성과 설치 후의 안정성 문제를 제기했다.

따라서 우선 ‘카이네틱 댐’ 공법을 도입해 일정 기간 암각화 보존을 유지하돼 항구적인 보존책을 마련하고 ‘울산권 맑은 물 공급’도 함께 해결함이 마땅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